2022년 11월 24일 목요일

해빙모드


저녁 약속시간에 1시간이 일찍 도착해버렸다...
약속장소 인근 아기자기한 Cafe에 앉아 생각을 정리해놓기 위해 노트북을 켰다..

#해빙모드

 - 최근 주변 사람들을 만나보면 다들 중국 부동산 침체, 인플레이션, 고금리, stagflation, recession 등 너무 부정적인 매크로 환경에만 위축돼 글로벌 정세판단이 너무 한쪽으로만 치우쳐져 있다라는 느낌을 강하게 받곤 한다. 

 - 작은 사무실 공간에 앉아 집-회사-테니스장-집-회사-테니스장 생활만 반복하는 내가 견문이 좁은것일 수도 있지만, 사실 글로벌 정세는 점점 회복 mode로 바뀌어가고 있다.

 - 금번 g20 회의에서 중국의 시진핑 역할이 러-전쟁의 중재자로서 크게 부각을 받았다고 한다. 

 - 러시아에게는 서방세계의 (일방적인) 금수조취로 인해 갈 곳을 잃은 energy, metal resource 구매자로서 

 - 우크라이나에게는 전쟁 복원을 위한 여러 resource 지원을 조달해주는 조력자로서 (물론, 공짜는 아니다.. 중국의 일대일로정책에 참여한다라는 조건 하에)

 - 중동(사우디)에게는 네옴시티 투자 및 여러 중동투자에 대한 조력자로서 
 
- 미국&서방세계에는 러-우전쟁 종전 & 휴전 중재자 역할로서 물가(금리)에 대한 해결실마리를 제공하는 역할로서 

 - 결론만 놓고 보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퀀텀점프를 했던 중국의 위기대처 능력이 금번에도 비슷하게 흘러가고 있는게 아닌지 의심스럽기도 하다..

 - 과거 유라시아 대륙에서 중재자 역할을 자처했던 독일의 전 메르켈 총리의 역할을 중국의 시진핑이 그대로 따라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의심스럽기도 하다..

 - 다음으로 금번 국제사법재판소의 사우디 빈살만 왕세자의 카슈끄지 암살 사건 기소건에 대한 면책특권 인정은 인권을 중시하는 바이든 민주당 정부가 사우디 차기 왕을 사실 빈살만으로 인정해줬다라는 뜻이므로,  

 - 이에 대한 보답으로 중동의 증산 기대감도 그동안의 글로벌 물가를 끌어올렸던 유가를 짓누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 지금껏 미국의 행보를 안좋은 쪽으로만 바라본다면,

 - (일방적인) 1) 중국에 대한 공급망배제. 2) 반도체 수출제한 조취, 3) 인플레감축법 IRA 이 야기시킨 EU와의 불공정무역 분쟁, 4) 독재 정권 중동 & 남미국가들에 대한 일방적인 수출 규제조취. 5) 글로벌 인플레, 고금리를 수출(?)국 등.. 패악질(?) 어디까지 이어나갈지.. 

 - 미국에 패권국 도전장을 내민 중국이 중재자역할을 자처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글로벌 단일패권국가로서의 국격에 맞지 않은 미국의 자국우선주의 행보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 G20 회의 이후 미-중은 향 후 2년간 서로의 레드라인을 지키며 당분간의 화해모드로 해석되긴 하는데.. 중국이 이 화해 기간동안 원하는것은 바로 기술자립, 그 중에서도 반도체 자립일 것이며..

 - 미국, 민주당(바이든)이 원하는것은 24년 총선 재집권이지 않을까 싶다. 금번 중간선거의 화두는 당연 고물가니.. 미국이 당장 중국에게 원하는 것은 중재자로서의 역할. 즉, 중동-우크라-러시아 사이에서 조율을 잘 타는 것이 아닐까 싶다. 

 - 약속시간 다댔따!!!


(탈중국 ?? 몰카아니지....?)

2022년 11월 19일 토요일

해운, 조선

 - 다음으로 우리가 눈 여겨보고 있는 산업은 그동안 계속 소외받아 왔던 해운, 그 중에서도 벌크쪽이다.

 - 20.3월 COVID19 이후 경기가 V자반등에 성공함에 따라 의류,가전,건자재, 자동차 부품 등을 싣어 나르는 컨테이너선 Shortage로 (ex, HMM) 운임이 급등했던 경험과

 - 22.2월 러-우 전쟁 이후 서방세계의 (일련의) 러시아산 원유,가스 금수조취들로 인해 원유 수급경로가 꼬여버려 탱커,가스선 운임이 급등하고 있는 경험



출처: 다올투자증권

 - 이 두 경험을 미뤄보아 다음 차례는 벌크다. 
 - 23년부터는 수요측면에서 big event 2개가 있다.

1) 네옴시티 그 외 여러 중동 투자
2) 우크라 재건

참고로, 네옴시티 1300조원 + 우크라재건 1000조 =2300조 / 10년 =매년  230조원인데, 중국이 건설인프라에 집행될 특수채권 예산 한도가 3.5조위안이라니까 KRW으로 환산하면 600-700조원 

즉,  중국 1/3만한게 10년간 새로붙는거 아닌지 모르겠다. (=대충 엄청 큰 숫자라는거)



하지만, 공급측면에서는 불안한 요인이 2가지가 있다. 이를 좀 더 세세히 알아보기 위해선 글로벌 철강시장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글로벌 조강생산능력은 약 24~25억 톤이라고 한다.


아시아가 16억톤(중국이 12억톤, 한국이 0.5억톤)
유럽이 2.9억톤
미국이 2.3억톤
러시아&동유럽 1.4억톤
인도가 1.5억톤
중동이 0.8억톤 정도 된다고 한다. 
출처 유안타증권




 - 중국이 철강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글로벌 철강시장은 중국 내수 건설,인프라 경기와 동행하는 경향이 짙다. 
 
 - 앞선글에서 언급했듯, 23년 중국 경기 반등이라는 대전제를 깔고 다시 현 시황을 다시 짚어보자.
 


- 주요 철강 수출국인 EU는 당분간 회복되기 쉽지 않은 천연가스 가격 폭등-> 전기료 떡상으로 전력소모가 심한 전기로, 고로 가동률을 낮추며, 일부라인을 셧다운 하고 있으며   

 - CIS지역에서는 러-우 전쟁으로 인한 러시아산 Metal 수출규제, 훼손된 우크라이나 철강 생산능력 또한 공급 수출물량을 압박하고 있는 상황이다. 

 

 - 결국, 23년은 중국 경기반등과 함께 CIS, EU쪽 철강공급, 수출물량이 일부 빠지면서 동아시아(한국,중국,일본)쪽 철강수요가 상대적으로 상당히 강할 가능성이 점점 농후해지고 있는 상황이지 않을까 싶다.

  - 23년 철강시장에 대한 긍정적인 view를 전제로 생각 아이디어를 더 넓혀보면, 보이는 것이 바로 해운 벌크시장이다. 

 - 현 시점 조선사는 고부가선종 LNGC, Container ship 위주로 도크를 우선적으로 수주받고 있으며, 다음으로 저부가선종인 bulk, tanker 수주를 위해 영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있다. 

 - 당연, bulk물동량이 늘어난다면 bulk선 수요가 살아날텐데 지금 수주, 발주 문의를 넣어밨자 나오는건 25년 그 이후가 될게 뻔한데, 단기간 수급불일치가 뻔한게 벌크 운임 시장이지 않을까 한다. 





 - 운항, 항로 route만 봐도 동아시아->중동쪽으로의 항로거리도 가까워보이진 않는다.
 

 - 다음으로, 중국 조선소들의 bulk선 수주물량이 들어올 것으로 보이는데 여기서 투자아이디어가 될 수 있는 것은 수주 선주사들은 앞으로 엄격해질 co2 환경규제로 디젤엔진이 아닌 D/F엔진이 탑재된 벌크선을 원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지 않나 싶다.

 - 당연 앞선글에서 언급했듯 내년, 내후년에도 중국에서는 경기성장을 위해서 게속해서 coal(석탄) 전력수요도 증가할 수 밖에는 없고..




 - 중국 경기가 열리기 전인 현 시점 bdi운임 지수는 당연 개바닥이긴 한데.. 언제 반등할지가 관건이다.. (곧 할 거 같은데?)





#글을 마치며 

 - 경기&환율 전망은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할 필요도 없다고들 말하지만.. 감히 전망해보자면.. 아무래도 23년은 중국, 중동 중심의 metal 수요 강세로 위험자산 선호도가 올라가 EM 환율, Metal Commodity 강세를 반대 포지션인 안전자산 달러, Gold 약세를 전망해본다~

 - 좋은 투자자가 되기 위해 현 상황을 이해 분석 후 이를 기본으로 미래 예측, 이후 상황이 변할 때마다 기존 생각을 유연하게 바꿔나가는

 - 매일 매일 많이 읽고, 듣고, 보고, 생각하고, 고민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부해나가며 지식을 쌓는 머리로 투자를 하는 영역은 자기 노력 여하에 따라 향상시킬 수 있지만,

 - 그보다는 투자를 직접적인 행동으로 옮기는 '배짱'의 영역이 노력의 여부를 떠나 선천적인(?) 기질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좀 더 중요하고 어려운 부분이 아닌가 싶다. 

2022년 11월 18일 금요일

중국 소비재, 산업재



 - 10,11월은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나쁘지 않았었다.
 - macro 공부를 틈틈이 해놨던게 지난 2개월동안 큰 도움이 됐었다.
 - 이번 글에서는 앞으로 우리가 봐라본 전망이 좋을(?) 산업, 섹터 크게 3곳의 꼭지를 짚고 넘어가려고 한다. 

#중국 소비재

  - 일단 현 글을 쓰는 시점 중국 시장은 historically & globally 소외받고 있으며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1) 시진핑3연임 독재
2) 중국 부동산 침체
3) covid19 확진자 떡상 & 방역강화 
4) 미국의 기술수출 규제 & 공급망 탈 중국 

 -곰곰히 생각해보면 위의 4가지 risk들이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중국의 큰 시대적 흐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생각을 해보면 나는 그렇게 크지 않다라고 자부(?)할 수 있을 것 같다. 

 - 그렇다.. 결국 나는 지금이야 말로 중국을 밀어(?)사야하는 시점이라고 마음을 단단히 먹고 있다.

 - 중국 1인당 GDP는 약 $12,000 수준이라고한다.

 - 14억 인구 중 월 1천위안(약20만원) 이하 수입이 약 6억명
 - 중국의 중산층이라고 할 수 있는 월 2~5천위안(약 20~ 100만원) 수입이 약 4억명
 - 월 5천위안 이상 소득수준을 가진 인구가 나머지 4억명이라고 한다. 
 - 이번 20차 중국 당대회의 공동부유 슬로건은 월 소득수준 5,000위안 미만인 10억 인민들의 소득수준을 끌어올려 2035년까지 1인당 gdp를 현시점의 2x이상까지 밀어 올린다는 것이 핵심이라고 한다. 

how?

 - 중국이라는 경제가 돌아가기 위해선 약 1,500~2,000만명이 태어나니 매해 약 이정도 일자리가 매년 필요하다고 한다.
 
- 1)  1,000명이 대졸자가 매년 나오고 다시 그중 70%가 이공계라고 하니 기술직 700개의 일자리가 필요하다고 한다.
 - 금번 20차 당대회를 앞두고 시진핑 3연임 인사의 특이한점은 장차관급 위의 인사 절반 이상을 실무경험이 풍부한 이공계쪽으로 다 채워 본격적으로 혁신(기술) 경쟁을 하겠다라고 한다. 

- 2) 여기에 매일 1인 스타트업&창업 1.5~1.8만명이 나오니 연환산으로 약 500-600만명의 일자리가 나오는 셈이라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창업은 대부분의 이커머스 1인 창업)
 
- 3) 나머지는 일자리는 농촌->도시 농민공수가 채우는 구조라고 한다.

나는 이 수치를 듣고선 깜짝 놀랐던게 중국의 사회구조가 상당히 기술분야 특히, TMT (Tech, media, Telecom)으로 바뀌었으며 과거와 같이 전통산업에 의존하지 않아졌다라는 것을 새삼 느끼게됐으며, 

(이미 중국 주식시장에서 TMT섹터 비중이 30%가 넘어선진 오래다..)


이는 중국 경기가 과거와 같이 부동산 의존도가 그렇게 높지 않으며 부동산 경기 침체가 바닥을 다져가며 회복되는 국면이므로 그렇게 막 공포에 떨 필요가 없다라는 것이다.

(사실 부동산 침체보다 더 큰 게 인프라투자다. 중국의 올해 1 월부터 ~10월까지 승인된 고정자산실물투자 금액이 전년대비 3x(약1조4천억 위안)이나 된다. 방역완화가 가시화 되는 시점과 맞물려 본격적으로 인프라 실물투자가 재개되기 시작하면 이것이 중국 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는 효과가 부동산 경기침체보다 효과가 훨씬 더 크지 않을까 한다.) 
  





기후변화로 인한 쓰촨성,양쯔강 수자원 부족 문제 개선을 위한 관개로 개선,
동수서산(동쪽의 데이터센터를 서쪽으로 옮기는) etc.. 

다음으로 중국 공산당의 최근TMT기업들을 향한 사회환원을 빙자한 삥뜯기(?)로 인해 TMT기업들의 채용축소가 결국 역효과가 되어 고용 일자리 감소로 나타나 청년 실업문제를 가중시켜 공산당이 정치,경제적 압박을 받고 있으며 

TMT기업으로부터 삥 뜯은 돈을 다시 그동안 등한시되어 왔던 사회안전망(?)투자에 사용할 예정이라고 하니.. 마냥 나쁜 의도만으로 뜯었다고만으로는 해석하기에 무리가 있지 않나 싶다.

(중국에서 매년 저렇게나 많은 스타트업, 창업이 나온다는 건 1) 자본시장 상당히 발달되어 있다는 의미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중국 내 초기 스타트업 엔젤투자가 활성화가 상당히 잘 되어 있다는 반증이며, 2) 자유 시장경제 중요 원칙인 인센티브 제도가 작동하고 있다라는 의미가 아닐까 싶다. 뭔진 몰라도 앞으로 다음 혁신이 터진다면 이는 중국에서 터질 가능성이 상당히 높지 않나 싶다.)

시진핑 3연임 독재정치, 공동부유 슬로건을 내건 중국 특유 사회주의 사상은 확실히 과거의 여러 독재정치, 마르크스 레닌 사회주의 사상과는 다르다.
 



중국은 미국의 패권에 도전하는 국가로 이미 부상해있으며 2028년이 되면 미국의 GDP 추월을 2035년 정도 되면 동아시아 패권을 가져올 국가로 부상할 것이라는 사실을 세삼다시 깨닫게 되지  않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앞으로 최소 10년 간 열리는 시장인 Asia 대륙이며, 그 중심에는 china가 있을 것이며 동아시아 패권도 점차 china로 기울지 않을까 한다..? 아니 그럴 것이다.. 



 - 아무리 미국이 중국에게 기술 수출 규제하려고 한들 소용이 없을 것이라는 것이 나의 소결론이기도 하다. 그 이유는

 - 지금이야 (미국) 국가, 중앙정부의 권력이 민간기업보다 훨씬 우위에 있어  다들 혼란스러워 하는 것 같지만,

1) 민간 기업 입장에서는 결국 전세계에서 가장 큰 (앞으로 더욱 비대해질) 중국 시장을 빼놓고 장사를 할 순 없는 셈이다.

- ASML, Volkswagen, TSLA, Apple, BWM, Nike 등등.. 중국에서 철수 하겠다는 기업을 본 적이 있는가? 그들은 오히려 미중무역전쟁 이후 더욱 큰 규모의 자본투자를 중국에서 진행중이다. 

2) 이미 중국의 GDP 90%가 내수에서 나오고 있으며 나머지 수출국 중 미국은 6%밖에 안되며 이미 전략적핵심 수입자원 물자 (식량,에너지)들은 우호적인 주변국(중동,러시아)들에 다변화에 성공해놨다.

3) AI, 5G, Green energy, Big data 기술혁신 에서는 이미 중국이 전 세계를 leading하고 있으며 앞으로 중국이 semiconductor 기술자립에 도전하고 있는 형국이다. 


 - 미국이 이를 막아보겠다며 수출규제를 하고 있지만 일단 민간기업차원에서의 저항이 있으며, 결국 수익이 난다면 지옥까지 따라갈 자본의 특성상 시장이 있는 곳(중국)으로 인력,자본,기술은 흐를 수 밖에 없지 않나 싶다..   

 - 미국이 아무리 IRA법안의 세제혜택, 인센티브제공 등으로 제조업 리쇼어링을 유도한다손 치더라도, 중국과의 시장의 크기, 성장전망, 산업경쟁력 등을 비교 감안해본다면 

- 인건비, 원부자재비 원가비중이 높고 5~10% 가공마진을 남겨먹는 제조공장을 조달비용(금리) 4~5%으로 미국에 짓는건 장기적 관점에선 미친짓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사실 매번 급변하는 국제정세 정치인 말만 믿고 덥썩투자하는게 바보아닌가?)


 - 그동안 중국이 방역완화를 하지 못했던 아래 이유 2가지가 빠르게 해소되고 있다.

1) 자국산 물백신(mRNA 백신 코팅기술 부족),
2) 고령자 접종률 



 - 성능좋은 서방국의 잘 코팅된 mRNA백신이 (고령자 중심으로) 중국에서 빠르게 접종되기 시작함에 따라 중국정부도 방역완화 기조를 이어나가고 있다.



 - 2023,3월에 있을 당대회 전후로 중국의 방역완화 기조는 계속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 그 동안 이어져온 1) 민간 초과저축, 2) 중앙정부 재정여력, 3) 낮은 물가를 감안해 봤을 시 covi19 이후 미뤄져온 중국정부의 경기부양 가능성이 매우 높지 않나 싶다 .


주저리주저리 말이 많았지만 결국 1) 중장기적으로는 중국 소득수준이 빠르게 올라올 것이며 2) 단기적으로는 내년 중국 소비가 상당히 강할 것이므로 중국소비재를 사야한다라는 것이다. 




(당장 23년,24년만 봐도.. GDP Growth 컨센서를 beat할 가능성도 중국이 가장 높아보이는건 나만그런가?)



#산업재
 
 - 아이디어를 확장해보자
 - 지금은 경단위,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산업인 에너지 산업의 전환시대이다.
 - 중국 경기가 돌아선다면 당연, 에너지 시장 큰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아래는 중국의 에너지 구조이다. 


 - $18조 GDP 글로벌 2위 국가가 적어도 10년간 CAGR 5~6% 성장을 위해선 추가  화석에너지(Coal, Oil, Gas)투자는 필수 불가결 하다.

 - 하지만, 기후위기라는 대전제하에 그동안 지양되어 왔던 화석에너지 투자가 재개될 것이며, 이에 최근 수요가 급증한 친환경 에너지를 위한 광물(copper, lithium, Cobalt, Nickel etc... ) 수요 또한 어마무시할 것이다. 

(최근 전기차 OEM, 배터리 투자계획, 이상론적인 친환경 정책들을 보고 있노라면 우리가 사는 세계를 광물 무한맵정도로 생각하는게 아닐까하는 착각이 들정도다.)



 - 여기에, IRA, RMA 법안 등 정치인들의 에너지안보 드립으로 국가간 중복투자까지 감안한다면, 광산 Business(Mining)는 다시 호황국면에 들어서지 않을까 한다.

 - 환경파괴 과잉공급 등으로 과거 수년간 미뤄져온 광산 투자 재개가 활발하게 이뤄날 것이며 이와 관련되어 있는 supply side 건설, 기계, 산업재 (ex, 굴삭기, 조선)쪽 big cycle이 오지않을까 한다. 

 - 미국 굴삭기 캐터필러 end market 전망만 봐도 명확히 보이는 그림이지 않나 싶다.



 - 여기에 그동안 친환경 에너지로 전환하겠다고 태양광, 풍력, 전기차, ESS, 전력기기를 만들겠다고 metal을 상당히 많이 썼는지 Metal 재고가 바닥을 치고 있는 형국이라고 하니, 중국 경기가 돌아서는 시점, 수급 불일치로 Metal 원자재 시장이 다시한번 들썩이지 않을까 한다. 


 - 한번의 광산 투자결정을 위해선 최대 50년의 수요를 고려해야 하는 Mining 사업자 입장에서는 금번 에너지 전환시점에서의 기회를 놓치지 않을것이다.


지금까지는 지난 2달간 수익률이 좋았던 섹터 위주로 말했지만, 남은 1개의 섹터는 앞으로 좋아질 섹터라 추후에 글을 이어나가야 할 것 같다.

약속시간 늦겠따!!!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