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기
- 23년 한해는 지난 1.5년동안 주가를 눌러왔던 Recession 우려에서 벗어나는 회복되는 국면으로 판단된다.
- 물가(=금리)상승 추세는 완화국면을 너머 가파르게(?) 떨어지는 국면이 이제 점차 다가오지 않나 싶다.
#원유 수급
수요강세
- 2월은 보통 난방유 원유 성수기이다.
- 이에 더해 중국의 춘절연휴(소비시즌)과 더불어 지난 근 3년간의 제로코로나에서 위드코로나로 전환됨에 따라 보복소비, 보복여행, (지연됐던) 건설,인프라 굵직한 고정자산 실물투자들이 조기집행 등 일회적으로 수요가 몰리는 특수한 월 이기도 하다.
공급감소
- 반면, 공급측면에서는 23.2.15일에 시행될 EU의 러시아 원유, 가스가격 상한제에 대한 대응으로 원유 감산 가능성 외의 특별한 이슈는 없다.
- 다음 OPEC+회의 일정은 6월이며, 산유국들은 고유가를 유지시키기 위해 계속해서 감산 빌미만 찾으려고 하지 않을까 싶다.
- 누가 봐도 2월은 원유 수요강세로 인해 유가 상방 베팅이 당연해 보인다
- 하지만, 여기서 재밌는건 미국 백악관의
전략비축유(SPR) 구매 계획이다.
#물가금리 하방베팅
백악관은 12월 SPR 입찰을 $75b/d에 입찰을 했었는데, 최근 2월물을 67~70$까지 입찰가를 낮췄다.
(위의 언급했듯) 누가 봐도 2월은 수급상 유가는 올라가는 월인데, 백악관은 왜 유가 하방에 베팅을 했을까?
(평소에 많이 의지하는 애널리스트 한 분께서 사견을 주셨다..)
러-우 전쟁 종결,휴전이 임박한 것이 아닐지..?
#불안한 러시아..
(예상 외로) 우크라이나가 미국의 군사원조를 받으며 선전하는 모습을 보이자, 그동안 미온적인 태도로 수수방관하던 독일,영국도 우크라이나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모습으로 돌변하기 시작했다.
서방세계는 이미 우크라이나 전쟁승리에 베팅이 들어간게 아닐까 싶다.
무리한 전쟁으로 인해 국민들의 불만이 계속 누적됨과 동시에 푸틴(Putin) 세력의 권위가 실추되고 있다고 한다.
이 모든 잡음의 원인은 바로 내정자를 정해버린 시점에서의 러시아 푸틴정권의 레임덕 때문이 아닌지 싶다.
수만, 수십만, 혹은 수백만의 목숨을 앗아간 푸틴의 말로가 어찌끝날지..
#전쟁 배상 대금
- 과거 1,2차 중동전쟁 이후 서방세계가 그동안의 전쟁 무기 지원 대금을 원유 증산으로 받아갔었던 것처럼 러시아의 패전이 짙어진다면, 전후 복구, 전쟁 배상 대금 지불 수단은 당연 천연자원이지 않을까 싶다.
- 당장의 원유 증산과, PNG를 통한 가스 공급 정상화 등 에너지, 메탈, 밀 등.. 러시아산 천연자원의 국제사회 복귀 등 서방세계가 뜯어낼 천연자원은 러시아에 많다..
- 러시아의 증산은 글로벌 물가에 (상당한) 하방 압력을 가할 것이며, 이는 고물가 고금리에 시름을 앓던 국제사회의 이해관계와 정확히 맞아 떨어진다.
#물가
- 만약 위의 시나리오대로 흘러간다면, 23년은 강력한 상승장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당장 PPI 지수는 -4% ~ -10%씩 떨어지며 CPI 지수도, 금리도 후행적으로 가파르게 올랐던 것만큼 가파르게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전쟁 안 끝나도 23년은 금리가 하락하는 해이긴 하다..)
(슬금슬금 빠지는 미국 5, 10년물 채권 시중 금리)..
- 그동안 물가, 금리로 인해 급락했던 (모든) 자산 가격도 급반등 할 가능성이 농후해진다. (암호화폐 포함..)
- (모르긴 몰라도 물가, 금리가 내려가면서 유동성 증가와 함께 중앙은행의 권력도 내려감에 따라 다시 탈중앙 암호화폐 시장으로 유동성이 흘러갈 가능성은 있다.)
#메탈 강세
- 공급측면에서는 ESG 환경이슈가 부각되면서 광산투자가 수년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으며,
- 동시에, Green Industy (태양광, 풍력, 전기차 etc..) 신규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해 현재 metal 재고는 역사상 (가장) 낮은 레벨에 근접해 있다고 한다.
- 광산 파업, 코로나19로 인한 인력부족 문제,
- 높은 인건비, 자재비 고금리로 낮아진 투자수익률 IRR,
- 경기침체 우려로 인한 투자 지연,
- 국가안보 이슈로 인한 패쇄경제, 이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붕괴,
등등 여러 이슈들이 복잡하게 얽혀 글로벌 광산투자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한다.
문제는 미국 IRA, 유럽 CRMA(핵심원자재법) 등은 막대한 보조금을 지원해 Green Industy의 신규 메탈 수요를 가속화 시키고 있지만, 광산투자가 이를 못따라고 있다는게 문제이다.
특히, 광산투자 PJT는 적어도 6~10년정도 걸리는 장기 PJT로 수요에 비탄력적이기 때문에 가격 변동성이 크다고 한다.
이에, 외사에서는 이번 경기회복기에는 원자재 Super cycle을 예상하고 있다고 한다.
#무엇을 살 것이냐? = 구리, 금
- 광산 그 중에서는 가장 shortage가 심한 구리에 투자 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 (항상 맞는 건 아니지만..) 정황상 GS의 구리 Shortage 예측은 앞으로 지속되는게 맞지 않나 싶다.
- 추가로, 금번 원자재 싸이클에서는 '금(Gold)' 지속된 강세가 예상된다고 하시는데 그 근원에는 US 달러 패권의 붕괴가 있지 않나 싶다.
- 경제학적으로 화폐의 기능은 3가지라고 한다.
1) 교환의 매개
2) 가치의 저장
3) 가치의 척도
- 여기서 달러 패권의 시작이라고 해도 무방했던 1)교환의 매개, 페트로 달러 (전 세계 원유 거래는 달러로 한정)의 위상이 악화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 앞으로 원유 수요, 원유 수입이 점차 늘 수 밖에 없는 곳은 중국과 인도이며, 미국의 원유 수입 의존도는 점차 낮아질 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한다.
- 이에 중동은 중국과 위안화로 원유를 결제하는 페트로위안화가 부각받기 시작했으며, 중국은 러시아, 호주, 중앙아시아, 서남아시아 국가들과도 위안화 결제 비중을 높이기 시작.. 글로벌 결재 시장에서 위안화의 위상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고 한다.
- 다음으로는 3)가치의 척도 인플레이션 헷지 기능으로서의 금의 기능이다..
#Zijin mining(자금광업)
- 내 눈에 가장 먼저 들어온 기업은 자금광업이다.
- 글로벌로 봐도 과거 투자로 인해 금, 구리, 아연 생산량이 2023년~ 2026년까지 늘어나는 기업은 손에 꼽으며 그중에 유일무이하게 자금광업이 있지 않나 싶다.
- 자금광업은 간단하게 하기 3가지 모든 강세 요인을 다 받을 수 있는 글로벌 기업이지 않나 싶다.
- 위안화 강세
- 금 강세
=끝.
(기록용으로 남겨둡니다.. 매수 매도 추천 글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