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차 관세 본격화와 한국 경제의 공간적 재편
1) 관세 환경의 질적 변화
-
국내 철강산업은 미국산 수출분에 대해 과거 TRQ(쿼터 내 무관세 + 초과분 25%) 체계에서 벗어나, 쿼터 없이 일괄 50% 관세가 적용되는 구도가 자리잡고 있다. 1차 철강 관세 25%가 적용되는 기간동안은 미국 내 철강 가격이 20% 이상 오르면서 1차 관세를 감안해도 가격경쟁이 됐지만, 현재는 다시 미국 내 철강가격이 빠지고 있다. 철강관세 50%는 한국산 철강의 구조적 가격경쟁력 약화를 뜻한다.
-
석화 정유 철강 등 중후장대 산업은 중국의 감산 불확실성과 글로벌 건설·부동산 부진이 겹치며, 전방 수요 약세 + 공급 과잉의 조합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
동시에 미국의 리쇼어링 정책은 **고용유발이 큰 중후장대 산업(철강·석화·자동차)**을 우선 겨냥하며, 한국·대만·일본·EU 같은 전통적 흑자 교역 상대가 주된 조정 대상이 될 공산이 높다.
트럼프 취임 후 아직 1년이 채 지나지 않았다. 관세발 리쇼어링 효과가 미국 내에서 본격 작동하면 리쇼어링 정책은 한층 가속될 가능성이 크고, 이는 한국 경제·사회 전반에 큰 파장을 미칠 것이다.
2) 산업별 충격과 기업 전략의 전환
철강/비철금속
-
포스코·현대제철은 미국 50% 관세, 중국발 저가 공세, 전방 수요 위축의 삼중 부담에 직면했다. 수출 채널 축소·라인 가동 저하·고용조정이 불가피하며, 국내 라인의 해외 이전 또는 현지 생산 확대 유인이 커졌다.
정유·석유화학
-
여수·울산 석화벨트는 통폐합·감산을 골자로 한 대규모 구조조정 국면으로 이행 중이다. 범용 중심 포트폴리오는 중국·중동 증설 + NCC 저마진의 구조적 압박 속에 존속 가능성이 제한적이다.
연말까지 자발적 통폐합을 유도하되, 성과가 없을 경우 산업은행의 채권관리 강화(대출 상환 압박)를 통해 부채비율이 높은 업체부터 순차적으로 감산·구조조정이 진행될 전망이다.
자동차(현대·기아)
-
대미 관세 리스크를 헤지하기 위해 미국 현지 생산·조달 비중 확대가 불가피하다. 이는 국내 생산 물량의 점진적 축소(차종·트림별 선택적 조정)와 지역 부품벨트 가동률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반도체(대비되는 흐름)
-
첨단 투자·인력 수요가 수도권으로 초집중되는 ‘흡인’ 효과가 강화되고 있다(용인·평택 등). 장비·소부장·인력 생태계가 수도권 편중을 심화한다.
https://www.reuters.com/world/asia-pacific/south-korea-factory-activity-shrinks-7th-month-higher-us-tariffs-pmi-shows-2025-09-01/?utm_source=chatgpt.com |
3) 공간경제 재편: 지방 소멸 압력 vs 수도권 과밀화
-
철강·석화·자동차처럼 고용승수가 큰 업종의 동시 조정은 지방 일자리 소멸 → 지역 소비 급감 → 자영업 침체 → 인구 유출의 하강 연쇄를 촉발한다.
-
반면 반도체 중심의 일자리·투자는 수도권 편중을 심화하여 지방 → 수도권 순이동을 구조적으로 강화한다.
-
정량 스케치로, , 2H25~2026년 **직접 일자리 감소 1.53만 명**, 고용승수 1.82**, **수도권 순이동률 0.25~0.30을 적용하면 연간 0.7~1.7만 명의 추가 순유입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 수도권 주거·교통 혼잡은 점증적으로 악화된다.
방법: 산업고용 충격 × 고용승수 × 순이동률
-
(A) 직접 고용 충격: 철강·석화·자동차의 국내 생산 축소로 2H25 2026 사이 직접 일자리 감소(수천1만 단위 가정).
-
(B) 연쇄효과(고용승수): 한국은행·산업연관 기반 추정치를 참고하면 제조업 고용승수 1.6~2.0 수준이 흔히 인용된다(산업·시점에 따라 상이). 한국은행
-
(C) 순이동률: 지역별 일자리 소멸 충격이 발생할 때 피해 직·간접 고용의 20~35%가 수도권으로 이동(가구 동반 포함)한다고 보수적으로 가정.
-
-
결과(예시 범위)
-
만약 2025H2~2026에 걸친 직접 일자리 감소가 1.5만 명 발생, 승수 1.8, 순이동률 0.25라면:
-
총 고용충격 ≈ 1.5만 × 1.8 = 2.7만 명
-
그 중 수도권 순유입 ≈ 2.7만 × 0.25 = 약 0.7만 명(7천)
-
-
직접 감소 3만 명·승수 1.9·순이동률 0.3의 상방 시나리오면:
-
총 고용충격 ≈ 5.7만 명, 수도권 순유입 ≈ 1.7만 명
-
-
-
해석: 통계청 내부이동이 이미 수도권 순유입으로 돌아선 상황에서(2024년), 상기 산업충격이 2년 연속 누적되면 연간 1만 내외(±) 추가 순유입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 이는 수도권 주거·교통 혼잡의 점진적 악화를 의미한다. 통계청
4) 2026년 재정·통화·유가 환경(요약)
- 이전 글에서 언급했듯, 26년에는 에너지지형 변화에 따라 WTI $50, 금리인하 -50~-100bp가 전망 된다고 한다.
-
26년 예산안이 빌표됐다. 총지출 728조 원, 재정적자/GDP 4.0% 가정 시 재정수지 적자 ≈ 109~110조 원, 총수입(통합재정) ≈ 619조 원, 국세수입(중앙) ≈ 396조 원이 합리적이다.
https://www.reuters.com/world/asia-pacific/south-korea-boost-budget-spending-bid-spur-ai-led-growth-2025-08-29/ |
-
재정적자를 충당하기 위한 국채 발행증가가 본원통화 증가로 이어지며, 동시에 금리 –50~–100bp, 유가 $50 하회가 결합하면, M2 증가율은 7.5~8.5% 범위로 높아질 공산이 있다. 이는 명목 금융여건 완화로 이어진다.
5) 서울 주택시장: 공급절벽과 구조적 수요초과가 겹치며 가격 압력 재점화
(1) 구조적 수요초과(2021~2023, 연평균)
-
가구 수 증가 5만 3천 가구/년 vs 주택 수 증가 3만 3천 가구/년 → 연간 약 2만 가구 부족이 누적되며 기저 수급 격차가 형성됐다.
-
배경: 1~2인 가구 분화, 직주근접 선호 강화, 지방 → 수도권 순유입의 구조적 흐름.
(2) 단기 공급 흐름: 입주물량 급감(공급절벽)
-
서울 2026년 아파트 입주 예정 약 28,355가구, **2025년(46,767) 대비 –39.3%**로 급감. 일부 전망은 1만 가구 이하 가능성까지 제시한다.
-
수도권 2027년 상반기 공동주택 입주 54,710가구로 내년(2026년) 대비 절반 수준까지 낮아질 전망.
-
2025H2~2027H1 전국 43만여 가구 입주 중 수도권 비중은 절반 이상이나, 서울 코어 입지의 절대 물량은 구조적으로 부족하다.
(3) 가격 메커니즘과 2026 밴드
-
통화·금리 경로: M2 7.5~8.5%, –50~–100bp 완화는 주택가격 +3~8%p 상방 기여(탄력·시차 고려) 가능.
-
공급충격: 서울 코어 공급절벽은 +1.5~3.0%p 추가 상방 압력.
-
정책·기대 조정: 대출·허가 규제 강화는 –1~–2%p 상쇄 가능.
-
귀결(연간 명목 상승률): 기준 +6~9%, **상방 +9~12%**가 합리적이다.
6) 결론: 정책의 수요억제 강화가 ‘가격 전가’로 귀결될 가능성
-
2026년 이후 거시 회복 사이클이 전개되고, 미국 관세–리쇼어링으로 지방 소멸 압력과 수도권 일자리 과밀화가 심화되는 가운데, 수도권 주택공급은 최저 수준에 수렴한다. 이 조합은 수도권 주택가격의 구조적 상방 압력을 만든다.
-
이러한 국면에서 **정책(민주당 주도 가정)**은 수요 억제 카드를 재가동할 가능성이 높다. 예컨대 부동산 취득세를 현행 3% → 8%로 상향, 보유세 강화, LTV/DSR 등 대출규제 재강화 같은 선택지가 거론될 수 있다.
-
그러나 수요가 절대적으로 늘고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환경에서는, 거래세·보유세·대출규제의 강화가 단기 거래량을 위축시키더라도 **가격의 ‘전가 능력’**을 없애기 어렵다. 매도자는 매수자에게, 임대인은 임차인에게 비용을 가격으로 전가할 여지가 커지며, 전월세·매매 모두에서 상승 압력의 점착성이 강화될 수 있다.
-
정책 시사점은 명확하다. 수요억제 단독 처방은 거래절벽·전세가율 상승·임대료 경직성이라는 부작용을 남길 수 있다. **공공·민간의 ‘현물 공급’ 확대(역세권·청년 장기임대, 토지비 절감, 표준모듈·분산 발주, 정비사업 병목 해소)**가 병행되지 않으면, 수요억제의 실효는 제한적이며 가격 전가 메커니즘만 강화될 위험이 있다.
요컨대, 2026~2027년 수도권은 “수요 증가 + 공급 절대부족 + 완화적 금융여건”이 맞물린 가운데, 정책이 수요를 눌러도 가격 전가가 작동해 주택가격·임대료의 상방 압력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26,27년에도 서울 도심권 아파트시장은 불장이 되지 않을까 싶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