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10일 월요일

생각정리 116 (* target Inlfation 3%, 내수경기 하락, KRW/USD 환율)


이전글에서 중립 인플레이션 타겟 3% 상향에 관한 생각을 남긴적이 있으며, 




자산인플레이션 경로이탈에 대한 글도 남긴 기억이 있다.



이는 시간의 문제일뿐 언젠간 올 수 밖에 없는 경로이다. 

관련해서 최근 타겟 인플레이션 상향과 그로인한 자산인플레이션 재점화 분기점이 될 수 있는 이벤트가 있어 기록해본다.

결론부터 말하면, 2026년 6월을 분기점으로 파월의 향후 거취에 따라 암호화폐, 부동산, 원자재, 주식시장 등 모든 자산시장의 경로가 정해지지 않을까 한다.

#연준 이사회의 변화


현재 연준 이사회 7석은 Powell, Jefferson, Barr, Cook, Bowman, Waller, Miran으로 채워져 있으며, 이 중 Trump 지명자는 Bowman·Waller·Miran의 3명이다. 관전 포인트는 2026년 5월 의장 임기 만료를 앞둔 파월이 의장직뿐 아니라 이사(거버너)직까지 사임할지 여부이다.

파월의 이사 임기는 2028년 1월 31일까지이므로, 이사직을 유지하면 트럼프 지명 인사는 과반이 되지 않는다. 반대로 파월이 물러나 공석이 생기고, 그 자리가 트럼프 지명 후 공화당 다수 상원의 인준으로 채워진다면 연준 이사회는 트럼프 지명 인사가 과반이 된다.

이 경우 미 재무부와 연준이 재정·통화정책을 함께 움직일 가능성이 높아진다.

#인플레이션 타겟 상향조정 시 시나리오

이런 구도에서는 **연준의 인플레이션 목표를 2%에서 3% 이상으로 상향(약 50% 상승)**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가 열린다. 이는 통화공급 확대와 양적완화의 여지를 넓히고, 물가상승만큼 미국의 실질 부채를 경감시키는 효과로 이어진다.

단순 산술로 보면 타깃 인플레이션이 2%→3%로 50% 높아질 때 달러 유동성도 그만큼 확대될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기축통화 달러의 공급 확대전세계 자산가격 상승 즉, 인플레이션의 재부상을 의미하며, 공급이 제한되고 유효수요가 존재하는 부동산을 시작으로 원자재 전반과 기타 자산 가치의 상승으로 파급될 수 있다.

여기에 트럼프는 내년 1분기 부유층을 제외한 미국인 약 85%에게 1인당 2,000달러의 관세 환급금을 지급하겠다고 공표했다. 코로나 회복기 1인당 1,600달러 지급 사례를 감안하면 이는 내년 1분기 미국 내 소비 급증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결과적으로 가계소비 확대 → 경기부양 → 성장률 상승의 연쇄가 나타날 수 있으며, 정책 효과는 단기적으로 긍정적일 순 있으나 중장기 인플레이션을 고착화시키는 부작용이 나타난다. 이러한 정책 타이밍은 내년 11월 중간선거를 의식한 정치적 계산과도 맞물려 있다고 해석해 볼 수 있다.


https://t.me/insidertracking

https://t.me/insidertracking

https://people.com/donald-trump-promises-2000-tariff-dividend-to-most-americans-11846416?utm_source=chatgpt.com

#인플레이션 경로 추정


글로벌 관점으로 시야를 확대해 구체적인 인플레이션 재점화 경로를 추정해보면 아래와 같다.

미국발 경기확장은 세계 공장의 가동률을 다시 끌어올리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 이후 경로에서는 먼저 수요견인(Demand-Pull) 인플레이션이 나타나고, 시차를 두고 원자재 수요가 가격을 밀어올리며 비용인상(Cost-Push) 인플레이션으로 전이된다. 

이 물가 압력은 전 세계 서비스 물가로 확산되며 경기가 확장국면으로 빠르게 진입, 근원 물가상승 가속 → 금리상승 재가속의 흐름을 만들 수 있다. 특히 이번 사이클은 저가 소비재(공산품)·에너지의 반등에 그치지 않고, 임금·주거비(집값·임차료)·대중교통비·유틸리티 비용과 같은 점착적(Sticky) 핵심 물가 항목의 상승 추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점착성물가 하방 경직을 강화해 통화정책의 룩스루(일시적 요인 무시) 접근을 어렵게 만들고, 물가상승 경로의 지속성을 높인다.

단기적으로는 2025년 4분기 미 연방정부 최장기 셧다운AI 도입에 따른 고용시장 둔화1~2차례 금리 인하의 명분을 제공해 금리 하락이 선행될 수 있다. 그 와중에 통화유통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관세환급으로 시중 유동성이 추가 투입되며, 2025년 6월부터 중립물가 상향이 겹치면 더 많은 유동성 투입 → 더 빠른 물가상승으로 구조가 가속화될 여지가 남는다.


#KRW/USD 환율


이러한 미국발 변화의 한국 파급은 다음과 같다. 미국 경기 활황 진입에 앞서 1~2차례 금리인하가 발생하면 한-미 금리차가 더 축소되고, 이는 원화 약세 요인이다. 최근 원화 약세로 수출기업 실적이 상향되어도, 이들이 벌어들인 달러를 미국 내 재투자할 필요가 있거나 구조적 원화 약세 국면에서 굳이 달러를 국내로 환류할 유인이 낮다면 국내로의 자금 유입은 제한적일 수 있다.


https://tradingeconomics.com/south-korea/currency

반대로 국내 투자자의 원화→달러 환전 후 미국시장 투자 수요는 더 강해져 원화 유출 속도가 가속, 추가 원화 약세의 지속으로 이어질 수 있다.

국내 기관의 해외증권 투자 증가(Q1): +100억 달러 수준으로 잔액이 확대. 거주자 해외투자 수요가 여전히 큰 축. 조선비즈



#한국 내수경기 하락


원화의 구조적 약세국면이 전개되면 피해는 내수경제에 집중된다. 반도체·자동차·선박 등 수출경쟁력이 높은 산업이 달러를 많이 벌어도 국내 외화잔고가 위의 요인들로 인해 두둑해지지 않을 수 있고, 아직 전체 대한민국 GDP에서 50% 내외를 차지하는 내수소비 하락폭이 더욱 가팔라 수출호조가 이를 상쇄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NE.CON.PRVT.ZS?locations=KR&utm_source=chatgpt.com

 
정부의 내수 하방 방어를 위한 확장복지정책
M2 증가 → 원화 약세 → 물가상승악순환을 낳을 공산이 있다.

소비진작 쿠폰은 내수를 일시적으로만 부각시킬 뿐이다. 무리한 확장 재정이 M2를 밀어 올리면 원/달러 상방 압력이 강화되고, 결과적으로 내수 경기의 하락 폭을 오히려 키울 수 있다.

따라서 “소비쿠폰 효과로 내수 업종 실적이 좋아진다”는 이유만으로 내수 관련 투자에 베팅하는 것은 지나치게 단기적이고 안일한 접근이다.

넷제로 이행을 위한 탄소세 도입으로 산업용 전력요금 상승이 예상되는 점도 큰 부담이다. 전력비 인상은 지방 거점도시에 자리한 지역 핵심 기업들에 직격탄이 되고, 결과적으로 지방소멸 압력을 키울 수 있다.

지역경제를 떠받치는 철강·화학·정유·발전 등 중후장대 산업의 충격은 일자리 감소 → 청년 인재 유출 → 상권 침체와 상가 공실 확대 → 지역 주택 공실 증가로 연쇄 전이되며, 지방도시의 소멸을 더욱 가속한다.

제조업 국가에서 전력비 상승은 치명적이며, 일자리 감소와 함께 글로벌 시장에서의 제품 경쟁력 악화로 직결될 수 있다.

발전사 배출권 부담 5년 뒤 5배…산업계 ‘전기요금 인상’ 우려[Pick코노미]


결국 고금리·고물가 재위협이 가시권에 들어온 상황에서 일자리 감소와 내수경기 하락이 겹치면, 사회 진입을 앞둔 청년층의 진입 시기 지연과 부채의 늪 심화, 세대 간 격차 확대, 자본주의에 대한 회의와 사회구조에 대한 불만이 커지며 암울한 경기 전망이 형성될 수밖에 없다는 생각도 든다.


#글을 마치며

내가 너무 우편향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 경계하지만, 현 정권의 경제정책 방향에는 의문이 남는다. 최근 ‘국민과의 대화’에서 현 정권은 젊은 세대와의 소통을 강조하며 긍정적인 면을 부각하는 듯했고, 대통령 국정지지도도 다시 상승하는 흐름이라고 한다. 

https://www.jonghapnews.com/news/articleViewAmp.html?idxno=470466


리얼미터

그러나 한국 경제에 잠재된 구조적 모순과 위기는 코앞에 와 있는데, 정권은 이를 언급하지 않고 덮으려는 모습으로 비칠 때가 있다. 이것이 내가 우편향이어서 그렇게 보이는 것인지 스스로 묻게 되지만, 현 정권이 우물 안 개구리처럼 보이는 인상을 지우기 어렵다.

장밋빛 전망만 내세우고 R&D 예산 확대 등 ‘돈 쓸 궁리’만 반복한다고 해서 한국 내수시장의 구조적 모순이 해소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문제를 덮어둘수록 시간이 갈수록 악화되어 전체 GDP 하락 속도만 가속될 뿐이다.

그렇다면 해결책·개선책은 무엇인가. 나는 문제점만을 지적하고, 전개될 상황에 맞춰 투자하여 고객의 자산을 불리고, 그로써 회사 이익을 확보하며, 나와 가족, 지인, 고객들의 이익만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면 되는 것인가?

나와 가족, 지인, 고객들 모두 한국이라는 큰 배에 탄 공동체 구성원
인데, 우리만 위기로부터 이익을 얻으면 그만인가? 하는 질문이 남는다. 

작은 주식투자자의 위치에서 해결책·개선점까지 굳이 생각할 필요는 없다는 생각도 든다. 그것은 국가의 녹봉을 받는 다른 전문가들의 영역이며, 나는 굳이 거기까지 갈 필요가 없다고 본다.

=끝

댓글 없음:

댓글 쓰기